오늘도 무사히
Safe and sound
Editorial
2024
후마니타스
3
LX하우시스 2025 트렌드북
LX Hausys 2025 Trendbook
Graphic
2025
LX 하우시스
4
《시대 정신》 프로젝트
The Zeitgeist Project
GraphicPracticeWebsite
2025
일상의실천
5
세종시즌 25 아이덴티티 시스템 & 공연별 포스터
Identity System and Performance Posters for Sejong Season 25
GraphicIdentity
2025
세종문화회관
3
불온한 인권
Subversive Human Rights
Editorial
2024
후마니타스
3
더코너즈 건축사사무소 아이덴티티 디자인
THE CORNERZ Architects Identity Design
IdentityMotion
2025
더코너즈
3
나비클럽 소설선 『타오』
Nabiclub Novel Series <Thảo>
EditorialGraphic
2024
나비클럽
3
모두예술극장 기획 프로그램
MODU ART THEATER Program
Graphic
2024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4
B주류경제학 연말에디션
<B-ECONOMICS> Year-end Edition
Editorial
2024
밀리의서재토스
4
상속자들
Les Héritiers
Editorial
2025
후마니타스
3
MODE at Bangkok 모드 엣 방콕
MODE at Bangkok
GraphicMotion
2024
한국콘텐츠진흥원
4
제50회 서울독립영화제 2024 <오공무한대 50 to Infinity>
The 50th Seoul Independent Film Festival 2024 <50 to Infinity>
EditorialGraphicMotion
2024
서울독립영화제
5
ACT 페스티벌 도록
ACT Festival Program Catalogue
EditorialGraphic
2024
ACC 국립아시아문화전당
3
2024 디자인페스티벌주제관 <덕후가세상을바꾼다> 일상의실천
2024 Design Festival Theme Pavilion <Geeks Change the World> Everyday Practice
Graphic
2024
5
《시대 정신》 프로젝트 웹사이트
The Zeitgeist website
EverydayPracticeWebsite
2025
4
《시대 정신》 프로젝트
Zeitgeist
EverydayGraphicPractice
2025
4
일상의실천에서 웹사이트 기획 및 디자인 인턴을 찾습니다.
일상의실천에서 웹사이트 기획 및 디자인 인턴을 찾습니다.
Everyday
2025
5
[Creator+] 디자인 스튜디오 일상의실천: 주어진 일에 그치지 않는 디자이너의 태도를 말하다
[Creator+] Design Studio Everyday Practice: Talking about the attitude of a designer who does not stop at the given task
Press
2024
디자인플러스
3
[Creator+] 일상의실천의 A to Z: <디자인플러스>부터 <2024 올해의 프로젝트>까지
[Creator+] A to Z of Everyday Practice: From <Design Plus> to <2024 Project of the Year>
Press
2024
디자인플러스
3
Everyday Practice x Un sedicesimo
Everyday Practice x Un sedicesimo
EditorialGraphicPractice
2024
Un sedicesimo
3

세종시즌 25 아이덴티티 시스템 & 공연별 포스터

Identity System and Performance Posters for Sejong Season 25

2025
GraphicIdentity

세종문화회관의 대표 공연 브랜드 ‘세종시즌’은 매해 다양한 공연 예술을 통해 관객과 소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일상의실천은 세종문화회관의 대표 공연 브랜드 ‘세종시즌 25’를 위한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디자인했습니다. 세종문화회관에서 기획 및 공동주최하는 다양한 작품들을 하나의 브랜드로 통합하기 위해 통일된 타이포그래피 시스템을 적용해 시즌을 하나의 흐름으로 조화시키고, 개별 공연의 정체성과 메인 비주얼을 강조하는 프레임을 프레임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S25’라는 시즌 넘버를 브랜드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주요 요소로 사용하고, 영문 타이틀 ‘Sejong Season’의 타이포그래피를 해체하고 조합하는 방식을 통해 유연성과 확장성을 담았습니다. 동일한 간격으로 두 줄 배치한 ‘Sejong’ ‘Season’에서 중복되는 ‘S’를 하나로 표기해 시각적으로 강조하고 시즌 넘버인 ’25’을 동일한 크기로 배치해 축약형 심볼의 인상을 연출했습니다. 국문 타이틀세종시즌은 원의 조형적 특성을 가진 로고타입을 개발하여 악보의 리듬과 천지인을 본떠 만들어진 중세 한국어의 인상을 가시화하고 있습니다. 타이틀은 로고타입의 선 길이, 여백을 필요에 따라 확장하여 유연하게 활용합니다.

디자인 디렉터. 권준호
디자인. 안지효
국문 타이틀 디자인. 김태룡, 박세희
모션 그래픽. 유환준
사운드. 신지웅

클라이언트. 세종문화회관

‘Sejong Season,’ the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flagship performance brand, is an annual program that engages audiences through a wide range of performing arts.

Everyday Practice developed a new identity system for ‘Sejong Season 25’, aiming to enhance the brand’s distinctiveness and cohesiveness.

To integrate the various productions planned and co-hosted by the Sejong Center under a single brand identity, we applied a consistent typography system to create a cohesive seasonal flow, and established a framing system that highlights each performance’s identity and key visuals.

The season number ‘S25’ serves as a core element reinforcing the brand identity, while the deconstruction and recombination of the English title ‘Sejong Season’ express visual flexibility and scalability. The overlapping ‘S’ in the two-line structure of ‘Sejong’ and ‘Season’ is expressed as a single letter to create visual emphasis, with the season number ‘25’ placed at the same scale to form a symbolic, compact mark.

For the Korean title ‘Sejong Season’, we developed a circular logotype inspired by musical rhythm and the visual language of medieval Korean script, drawing from the ‘Cheon Ji In’ principle in Hangul typography.

Design Director. Joonho Kwon
Design. Jihyo Ahn
Korean title design. Taeryong Kim, Sehee Park
Motion graphics. Hwanjun Yu
Sound. Jiwoong Shin

Client. 세종문화회관